= 비금융인 자본시장 이해하기 = 

은행 트레이딩 본부의 시스템을 구축할 때 초보컨설턴트나 개발자에게는 낯선 용어가 많이 있다. 비금융인면서 자본시장 IT 종사자들이라면 필히 알야야 할 금융 개념들을 비금융인의 눈높이에서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해 보려 한다.


금융상품을 이해하는 첫번째는 금융상품의 정의를 반드시 확인하고 그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다. 여기서 '이해'라는 것이 중요한데 그것이 꼭 금융적 지식과 사고에 기인한 것이 아니어도 좋다는 것이다. 오히려 먼저 자신이 이해하는 세계에서의 '상식' 수준으로 이해하면 된다고 말하고 싶다.

 
*     *     *     *     *     *     *     *     *     *


2001년에 금융공학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자산운용시스템을 구축하던 때의 일이다. 당시 스왑 파생상품을 시스템 구축하는 일을 하고 있었는데, 지금과 달리 스왑 상품은 일부 전문가들만이 취급하고 있는 것이었다. 스왑 거래를 취급해 본 적은 없지만 금융을 공부했었기에 어설프게나마 거래가 어떤 형태로 이뤄지는지 정도는 알고 있었다. 그런데 스왑 평가(Pricng) 기능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답답하셨는지 그분이 갑작스레 내게 질문을 던졌다. 

"스왑의 정의가 뭔가요?"

어느 금융책에서든 금융상품의 정의는 서두에 소개가 된다. 그런데 흔히 그 다음에 나오는 그 상품의 기능, 역사, 경제적 효과, 평가방식 등의 것들을 머리속에 담아두려 애쓰는 과정에서 막상 상품의 본래의 정의는 머리 속에서 사라져 버리고 마는 것이다. 당시 나는 이 질문에 대해 간단히 대답하지 못했다. 그저 스왑이 거래쌍방간에 어떤 동기(기대)에서 이뤄지는지 그리고 그런 거래는 왜 필요한 것인지 등에 대해서만 장황하게 늘어놓았던 기억이 있다. 그런데 그것은 스왑의 정의가 아니었다. 

정의를 올바로 이해하고 있지 못하면 그 다음 논리 전개와 후속 과정을 곡해하거나 외우게 되기 쉽다. 당시 스왑 평가 방식에 대해 설명해 주어도 이해를 잘 못하는 모습에 스왑의 정의부터 재차 설명을 들어야 했던 이 사건은 내게 이후 새로운 상품명이 나올 때마다 그 상품이 무엇인지 인터넷검색을 하거나 주변에 자문을 구해 반드시 정의를 알아두는 습관을 갖게끔 해 주었다. 

금융상품의 정의는 간단한 한두 줄의 문장이지만 핵심을 모두 담고 있기에 꼭 기억하고 있어야 하고 이것은 자산운용시스템을 구축하는 IT종사자들에게 있어서도 필수적이다.

*     *     *     *     *     *     *     *     *     *

그럼 금융상품의 정의를 어떤 식으로 기억하고 있으면 될까? 사전적인 정의는 머리속에 잘 남지 않게 마련이다. 다시 <스왑> 상품을 예로 들어 정의를 소개하고 기억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첫째, 금융상품의 정의를 확인한다.

스왑 거래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일정한 현금흐름을 일정한 가격조건에 따라 다른 형태의 일정한 현금흐름과 일정기간동안 교환할 것을 스왑상대방과 계약한 거래

둘째, 상품의 정의에서 핵심 문장과 키워드를 찾는다.

그럼 이 스왑의 정의를 어떻게 기억하면 좋을까? 핵심 문장과 키워드를 자신의 '상식'을 바탕으로 기억하면 된다. 이 정의에서 기억해야 할 핵심 문장은 '쌍방이 현금흐름과 현금흐름을 교환한다'는 내용이다. 더 짧은 키워드로 말하자면 '교환한다(exchange)'이다. 이것이 스왑을 정의하는 불변의 사항이다. 금융 세계에서의 스왑이므로 교환의 대상이 현금흐름이 되는 것 뿐이다. 역으로 말하면, 무엇이든 현금흐름을 교환하는 거래가 있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것은 모두 <스왑>이라고 부를 수 있다.

세째, 부수적으로 상품의 정의를 수식하는 어구를 파악한다.

반면 스왑의 정의에서 부수적인 사항을 발견할 수 있다. <가격조건>과 <기간>인데, 이 조건들이 스왑을 다양한 상품유형으로 변형되는 특질을 설명해 주며 일종의 스왑의 유형을 알려주는 수식어 같은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이자율 스왑 상품의 일반적인 형태는 다음과 같다.

    • 원화 고정금리 현금흐름을 달러 고정금리 현금흐름과 교환, 5년 만기
    • 원화 고정금리 현금흐름을 달러 변동금리 현금흐름과 교환, 5년 만기
    • 원화 변동금리 현금흐름을 달러 고정금리 현금흐름과 교환, 5년 만기
    • 원화 변동금리 현금흐름을 달러 변동금리 현금흐름과 교환, 5년 만기

여기서 원화, 달러, 고정금리, 변동금리가 <가격조건>에 해당이 될 것이며 5년 만기가 <기간>이 될 것이다. 가격조건과 기간은 계약에서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또 다른 변형으로 이자율 스왑 상품에서 이런 것도 가능하다.

    • 미국 채권 현금흐름을 달러 변동금리 현금흐름과 교환 
      (참고: 이 상품을 Asset Swap이라고 부른다.) 

스왑은 그야말로 변화무쌍하다. 어떤 형태이든지 쌍방이 현금흐름을 교환하면 스왑 상품이 된다. 스왑 상품의 정의로부터 핵심 키워드와 부수적 사항을 파악하고 있으면 수없이 많은 스왑 상품유형을 일일이 습득하려 노력하는 수고를 덜 수도 있다. 

*     *     *     *     *     *     *     *     *     *

특정 금융상품의 정의를 이해했다면 지금 사용하고 있는 자산운용시스템을 한 번 들여다 보자. 그 상품을 취급하는 거래화면이 얼마나 그 상품의 정의를 잘 담고 있다고 느껴 지는가? 만일 부수적인 조건이 조금 달라진 상품이 나온다면 지금 거래화면을 고치지 않고도 수용이 가능할까? 아니면 완전히 새로운 화면을 만들어야 할까? 아마도 현재 자산운용시스템이 갖는 한계가 눈에 보일 것이다.

생각을 확장해 보자. IT 전문가로서 특정 상품을 취급하는 정보시스템을 만든다면 어떻게 만들어야 할까? 그 상품의 거래를 취급하는 프론트 오피스, 미들 오피스, 백 오피스 담당자는 각기 어떤 관점을 중요하게 생각할까? 


자산운용시스템 구축에 종사하는 IT인들이라면 금융상품의 정의를 간과하지 말고 반드시 자신의 키워드로 이해하려는 노력을 기울일 것을 추천하고 싶다. 

마찬가지로 자본시장 IT에서 부딪히는 여타 금융용어(terminology)에 대해서도 틈틈히 익혀나간다면 도움이 될 것임은 두말할 나위가 없겠다.  


 



이 글이 공감되셨다면  버튼을 꾹 눌러 주세요.

= 비금융인 자본시장 이해하기 = 

은행 트레이딩 본부의 시스템을 구축할 때 초보컨설턴트나 개발자에게는 낯선 용어가 많이 있다. 비금융인면서 자본시장 IT 종사자들이라면 필히 알야야 할 금융 개념들을 비금융인의 눈높이에서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해 보려 한다.

금융상품 이해, 피하지 말자

자본시장에는 수많은 종류의 금융상품들이 있다. 비금융인으로서 처음 자본시장 IT시스템 구축이란 세계에 발을 들이기 시작하는 이들은 초장부터 낯선 이들 상품 목록을 보면서 금융과 친해질 마음을 아예 접기 십상이다. 닥치는 대로 공부하기 시작하는 이들도 있으나, 대부분은 '복잡하고 낯선 용어도 많으니 잘 모르겠다. 그냥 시키는 대로만 하자' 이렇게 마음먹게 되고 '저는 그 상품이 뭔지 모르는데요' 라며 발을 빼기 마련이다.

금융상품을 이해하는데 복잡한 수식이나 공학적 지식을 꼭 갖추어야 하는 것일까? 전문적인 지식을 쌓고자 한다면 필요하겠지만, 상당부분은 조금만 요령을 가지면 이해할 수 있다.


금융상품의 특질을 결정하는 다섯가지 결정요소(Factor)

금융상품을 이해함에 있어 제일 먼저 파악해야 하는 것은 해당 금융상품이 갖는 특질이다. 오늘은 금융상품의 특질을 이해함에 있어 기초적인 다섯가지 매개요소(Factor)를 소개한다.

모든 금융상품은 다음 다섯가지 요소 혹은 그 조합과 파생으로 그 특질이 결정된다고 할 수 있다.

금리 Interest Rate
환율 Foreign Exchange
주가 Equity (Stock)
상품 Commodity
신용 Credit


집 살 때 은행에서 <대출>을 받는다. 우리가 대출을 받을 때 제일 중요한 게 무엇인가? 금리다. 변동금리인지 고정금리인지. 변동금리이면 기준금리가 무엇인지, 금리결정일은 언제인지, 앞으로의 금리는 오를지 내릴지 등등. 대출은 금리상품이다. 대출과 같은 <채권>은 금리 상품이다.

<달러 외화예금>을 한다고 하자. 예금자로서 관심사는 만기 때에 원화 원금과 이자금액이다. 그것은 무엇으로부터 결정되는가? 예금 금리 그리고 만기와 이자지급일의 환율이다. 그러므로 달러 외화예금은 '금리+환율' 결합상품이라고 할 수 있겠다.

아무리 복잡해 보이는 금융상품이라도 이 다섯가지 요소의 틀 안에서 설명될 수 있다.
이처럼 금융상품을 볼 때 그 상품의 결정요소가 무엇인지에 따른 분류가 일단 눈에 들어오면 막연한 거부감은 생기지 않는다. 또한 다행인 것은 금융상품명칭에 결정요소가 대부분 명시되어 있으므로 파악하기도 어렵지 않다. 주가지수연계예금, 주식결합증권, 신용연계증권, 금리스왑, 통화스왑과 같은 식이다.

전혀 새로운 금융상품을 접하게 되었는가? 그렇다면 가장 먼저 파악해야 할 것이 이것이다.

'이 금융상품은 다섯가지 중에서 어떤 결정요소(Factor) 혹은 결정요소의 조합에 속하는가'

이같은 시각을 갖고 해당 상품의 설명을 보면 그 상품의 구조를 빠르게 파악하는데 도움이 된다. 
(금융상품의 구조를 파악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따로 포스팅하려 함)


금융상품의 다섯가지 결정요소와 프론트, 미들, 백오피스

지난번 포스팅에서 설명했던 프론트, 미들, 백오피스 업무와 연결시키면 서로 교차하는 모습으로 그려볼 수 있다. 금융상품의 특질은 금융의 각 업무 영역이 어떻게 차이를 갖는지를 이해하는데에도 기초적인 요소가 된다.



자본시장 트레이딩 솔루션(패키지 제품)도 금융상품의 기본 분류를 이들 다섯가지 특질의 구분으로 시작하며 제품 라이선스 역시 이들 요소에 기초해 판매가격 책정을 하고 있다.


이 글이 공감되셨다면  버튼을 꾹 눌러 주세요.


= 비금융인 자본시장 이해하기 = 

은행 트레이딩 본부의 시스템을 구축할 때 초보컨설턴트나 개발자에게는 낯선 용어가 많이 있다. 비금융인면서 자본시장 IT 종사자들이라면 필히 알야야 할 금융 개념들을 비금융인의 눈높이에서 이해할 수 있게 정리해 보려 한다.



프론트, 미들, 백 오피스 (Front, Middle, Back Office)


가장 기본적인 것으로 프론트, 미들, 백 오피스라는 업무 영역 구분이 있다. 한 번이라도 금융기관 자본시장 관련 프로젝트를 해 본 이라면 들어본 용어일 것이다. 시스템 구축에 참여한다면 아마도 프론트, 미들, 백 오피스 중 한 파트로 결정되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신참에게는 이 용어들이 잘 이해되지 않는다. 대강은 알겠지만 왜 그렇게 나뉘어야 하는지 목적이 무엇인지 모른다. 시스템 구축을 잘 할리 만무하다. 기본적인 이해를 못하면 시스템 설계와 구축할 때 어떻게 해야 제대로 만드는 것인지 알 수가 없으니 말이다.


어떤 금융 거래 하나가 주어진다고 할 때 프론트, 미들, 백 오피스 업무의 관점을 한 문장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론트 오피스
이 거래 하면 돈 버는데 도움이 될까?
Front office workers make the money.

미들 오피스
그 거래가 적절한 건지 어디 볼까?
Middle office workers are an integral part of making money.

백오피스
뒷처리는 제가 할께요. 느낌 아니까~~
Back office includes any process-orientated roles.


▶프론트 오피스는 Money-making, 즉 돈버는 투자인지에 관심을 둔다. 트레이딩룸에서 여러개의 모니터를 보면서 전화를 하고 바삐 움직이는 트레이더/딜러들이 여기에 속하며 보통 채권운용부, 주식운용부, 파생상품운용부 같은 식의 Desk로 구분된 조직으로 운영된다. 

미들 오피스는 현재의 거래, 투자가 적절한 수준(Health)인지에 관심을 둔다. 프론트 오피스를 지원하고 통제(Control & Monitoring)를 하는데 일종의 관제 업무라고 생각해도 되겠다. 리스크 관리(Risk Management), 컴플라이언스(Compliance), 한도관리(Limit Management), 유동성관리(Liquidity Management), 성과관리(Performance Evaluation) 같은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

백오피스는 거래 사후의 각종 오퍼레이션을 하는 곳으로써 정확하고 투명한 처리에 주안점을 둔다. 거래확인(Confirmation), 회계처리(Accounting), 결제/자금이체(Payment/Settlement)와 같은 업무 처리를 담당한다.

(프론트, 미들, 백 오피스 업무들의 상세는 각 항목별로 차차 정리하려고 함)

덧붙여 자본시장 트레이딩이 이렇게 세 파트로 구조화되어 운영되고 있는 것은 각종 금융사고의 가능성을 방지하는 장치로서의 역할도 있음을 기억해 두면 좋다.

(출처 = 구글 이미지)



그럼 프론트, 미들, 백 오피스에서 정보시스템을 구축하고 선택한다고 하면 각 오피스에서는 어떤 제품(서비스)을 기대할까? 앞서 설명한 관점에 비추어 생각해 보면 쉽다.

프론트 오피스
이 제품(서비스)을 도입하면 판단(분석)을 빠르게 해서 돈 버는데 도움이 될까?

미들 오피스
이 제품(서비스)을 도입하면 거래들이 적절한 건지 안전하고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을까?

백오피스
이 제품(서비스)을 도입하면 업무 프로세스와 오퍼레이션을 편리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을까?


이렇게 금융기관 내에서도 부서마다 서로다른 관점을 갖고 있음을 이해하는 것은 유용한 금융정보시스템을 기획하고 제공할 수 있는 기본 바탕이라 할 수 있겠다.


[참고]


Girl Banker®,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front, back and middle office in an investment bank? 소개글, 동영상


 

 


이 글이 공감되셨다면  버튼을 꾹 눌러 주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