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 다큐프라임에서 자본주의에 관해 방송된 내용이 유투브에 있어 한데 모았다. 자본주의에 관해 4부작을 편성한 것인데 여기에 1부에 대해서 요약/정리해 보려고 한다. 유투브 동영상으로는 1편부터 7편까지로 "자본주의 - 돈은 빚이다" 라는 주제로 설명하고 있다. 웬만한 거시경제 서적이나 금융 서적을 읽는 것보다도 아주 쉽게 설명을 해 준 핵심 요약판이라고나 할까? 어렵고 복잡한 것을 단순 명쾌하게 설명한 것을 보게 되면 보물을 발견한 듯 싶다. 마치 '내가 이렇게 설명해 주고 싶었어' 라고 외치며 이거 한 번 봐봐 라고 알려주고 싶은 마음이라고 할 수 있겠다.


방송 내용을 직접 들으며 주요 내용을 요약 정리하였다.. (유투브 동영상은 포스팅 맨 아래 참조)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현대는 금융자본주의의 시대, 즉 돈이 지배하는 세상.

금융자본주의는 영국에서 시작해서 미국에서 발전한 시스템이다.

물가가 오르는 것은 수요-공급 법칙에 의해서만은 아니다. 물가가 오르는 이유 중 하나는 돈의 양(통화량)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은행은 예금에서 지급준비율 만큼만 남겨두고 나머지를 대출해 줄 수 있다. 

지급준비율은 16세기 금이 돈이었던 시절, 영국 사람들이 금 세공업자에게 금의 안전을 위해 맡겨두는 데에서 유래했다. 

사람들은 한꺼번에 모든 금화를 찾으러 오지도 않고 동시에 몰려오지도 않는다는 데서 착안, 금화를 빌려주고 이자를 받았고 보관한 금의 10배에 달하는 액수만큼을 대출을 해 주었다. 이것이 오날날 은행의 지급준비율이 통상 10%로 정해진 유래이다. (참고: 우리나라 지급준비율은 중앙은행인 한국은행에서 결정하며 평균 3.5% 내외)



모든 돈은 신용이다. 지불에 대한 약속이다. 

은행은 통화시스템을 부풀린다. 그게 은행이 하는 일이다. 더 많은 대출을 해줘야 통화 시스템에 더 많은 돈이 생긴다. 이것이 우리 사회가 '빚 권하는 사회'가 된 이유이다. 여기저기서 대출을 권하는 현상. 그러므로 시중의 통화량은 조폐공사에서 찍어낸 통화량보다 훨씬 많게 된다. 


통화량이 늘어나면 물가가 오른다. 돈이 점점 많아지니 돈의 가치가 떨어지고 물가가 오르게 되는 것이며 이것을 인플레이션(통화팽창)이라 부른다. 


중앙은행도 돈의 양을 늘린다.

현대경제에서 중앙은행은 통화량을 조절하는 일을 한다. 이를 위해 이자율 통제와 화폐 발행 두가지 수단을 사용한다.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 - 중앙은행이 화폐를 찍어 통화량을 늘림으로써 경기방어와 신용경색을 해소하는 정책


중앙은행이 돈을 푸는 이러한 정책에 의해서도 인플레이션이 온다.


빌린 돈을 갚는 것은 (당사자에게는 다행스럽고 좋은 일이겠지만) 그 돈을 갚기 위해 누군가의 돈을 가져온다는 의미이고 그렇게 될 때 누군가는 돈이 없어 돈을 갚지 못하고 파산하게 된다. 흡사 현대 금융시스템은 "빚 보존의 법칙"이 지배하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누군가는 빚을 갚으면 누군가는 파산을 하게 된다. 모든 돈이 빚에서부터 시작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자본주의 사회는 경쟁이 필연적이다. 이자 시스템이 존재하는 한 다른 이의 돈을 갖기 위해 경쟁하게 된다.


우리의 은행시스템은 아이들의 의자 앉기 놀이와 다를 바가 없다. 노래하고 춤추는 동안은 낙오자가 없다. 그러나 음악이 멈추면 탈락자가 생긴다. 의자는 언제나 사람 수보다 모자라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런 일이 연속으로 벌어지면 시중에 돈의 양이 줄어들게 되고, 돈이 부족하니 돈을 못 갚는 사람이 더 많아지고 대량 부도사태가 발생한다. 그래서 이제 거꾸로 통화량이 줄기 시작하며 디플레이션이 생기게 된다.


디플레이션(deflation) - 통화량의 축소로 물가가 하락하고 경제활동이 침체되는 현상


돈이 없으니 기업이 위축되고 해고가 일어나고 여기저기서 돈이 없다는 소리가 들린다. 그래서 디플레이션은 누구나 싫어한다. 


인플레이션 후에 디플레이션이 오는 것은 숙명과도 같다. 왜냐하면 호황이 진정한 돈(일해서 번 돈)이 아닌 빌린 돈으로 쌓아진 것이기 때문이다. 경제에도 사계절이 있는 것이다.

 

그럼 금융위기가 언제 일어날지 알 수는 없는 것일까? 금융위기가 정확히 언제 일어날지 미리 아는 것은 어렵다. 그렇지만 금융시스템의 위기를 예측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러시아 경제학자 니콜라이 콘드라티예프는 자본주의 경제환경에서는 장기 순환 주기가 있으며 48년~60년 정도가 된다고 밝혀냈다. 이것을 코드라티예프 주기라 한다. 미국의 경우 하강기가 2000년대부터 이미 시작되었다고 본다. 우리나라도 상황은 비슷하다. 지금은 디플레이션 시대.


은행은 당신을 각박한 세상으로 내보내 다른 모든 사람과 싸우라고 한다. - 베르나르 리에테르 「돈의 비밀



달러는 어떻게 세계의 기축통화가 되었을까?


기축통화 - 국제거래에 통용되는 결제수단


1944년 7월 브레튼우즈 협정에서 미화 35달러를 금 1온스에 고정하여 금태환제를 시작하며 각국의 통화를 달러에 고정시킴으로써 탄생되었다. 


브레튼우즈 협정 - 종전 직전 미국을 포함한 44개국의 대표들이 참가한 연합국 통화 금융 회의에서 탄생한 협정


그런데 베트남 전쟁으로 달러 가치가 하락하게 되고 이런 상황이 되자 금 교환요구가 급증하게 되었으며, 금 보유고가 떨어져 더 확보하기가 어려워졌다. 결국 1971년 미국 닉슨 태통령은 금태환제를 일방적으로 철폐하였다. 이럼으로써 미국 달러는 금으로부터 자유로워지게 되었다. 이제 미국은 금과 무관하게 화폐 발행을 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달러는 미국 연방준비은행(FRB)에서 발행한다. 그런데 주목할 점은 FRB는 중앙은행이지만 정부기관이 아니며 민간기관이라는 점이다. 이렇게 전세계는 미국 경제, 미국 달러에 묶여 있다. 



돈이 돌아가는 원리를 모르면 희생자가 될 수 밖에 없다. 

금융자본주의 세상에서 빚은 돈이다. 돈은 빚이다. 그래서 우리는 어쩔 수 없이 빚의 노예이다.  


한 나라를 정복해 예속시키는 방법은 두 가지다. 하나는 칼로 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빚으로 하는 것이다 - 존 애덤스, 미국 대통령 











*전체 동영상 보기(Click) => [한국방송대상_대상] EBS 다큐프라임_자본주의 / 2012년 12월



- 끝 -


이 글이 도움 혹은 공감되셨다면  버튼을 꾹 눌러 주세요.

"우수한 인재를 열악한 시스템에 두면 언제나 시스템이 이긴다. 

 그러므로 사람을 바꾸기 전에 시스템을 먼저 바꿔라."

    - 기어리 러믈러(Geary Rummler), 조직성과 시스템 설계와 인력개발 전문가

(출처: HRD 컨설팅 인사이트, p.259)


이 명언은 아무리 유능한 인재와 인적자원개발 요소를 갖췄어도 시스템(제도, 프로세스, 인프라 등)이 나쁘면 모든 것이 나빠지고, 반대로 뛰어나지 못한 사람이라도 좋은 시스템에 투입되면 성과는 자연스럽게 좋아진다 - 적어도 평균 수준 정도는 한다 - 는 것을 말한다.

그래서 기업들은 우수 인재들을 선발, 채용하려는 노력을 하는 한편, 끊임없이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리엔지니어링(re-engineering)하고 선진화, 고도화하는 시도를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아래 그림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정보기술은 경영혁신을 '촉진'시키는 도구로써 사용되고, 또 반대의 측면에서 경영혁신을 '구현'하는 도구로써 활용되는 것이다. 이런 추세는 작금의 디지털화, 글로벌화 시대에는 더 가속화 되어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출처: 디지털 경제시대의 경영정보시스템((c)2000, 김효석, 홍일유 공저)


정보시스템은 1차적으로는 인프라에 속하면서도 제도나 프로세스를 뒷받침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기업 시스템의 근간을 이룬다. 그러므로 정보시스템과 정보기술은 기업전산부서만의 영역으로 국한되지 않는다. 경영지원, 경영기획, 경영전략과 맥락을 같이하며 동반 관계로서 다루어져야 할 영역으로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 글이 도움 혹은 공감되셨다면  버튼을 꾹 눌러 주세요.

기차역 대합실과 열차 안에서 2시간 반, 집에 도착해서 2시간 반. 이렇게 내리 5시간 가량을 340 페이지 분량의 소설책 한 권에 파묻혔다. 책 한 권을 쉬지 않고 내리 독파한 것은 목도 아프고 눈에 피로감도 쉬이 갖는 내게는 전대미문의 사건이다. 열차가 출발할 때부터 도착할 때까지 책 한 권을 계속 읽었다는 것이며 집에서 1시간 이상을 한 권의 책에 집중한다는 건 내겐 낯선 일이기 때문이다. 책을 읽더라도 중간에 딴 짓을 하며 '환기'를 하기 마련인데 이 책은 무슨 마법을 부린 것일까? 

대단한 베스트셀러 유명 작가의 책도 아니면서 그저 시간을 때워 볼까 싶어 도서관에서 고른 소설책 한 권에 이토록 매료되다니 참 별일이다. 이런게 미스터리 소설의 묘미가 아닐런지. 아마도 별 것 아닌 옛 시절을 회고하는 일상의 인물들이 한 명씩 등장할 때마다 펼쳐지는 진실의 발견이 도저히 책을 다음날까지 넘기면 안되게끔 붙들었던 것 같다. 


라일락 붉게 피던 집 - 10점
송시우 지음/시공사


소설은 현재의 커리어우먼 현수빈을 주인공으로 그가 쓰게 된 유년기행 연재컬럼을 매개로 옛 연탄가스 사망 사건을 상기시키고 그 사건의 실타래를 조금씩 열어 보인다. 수빈의 어릴적 시절 1980년대 이야기를 보노라면 지루함보다는 아련한 향수가 풍겨난다. 나의 유년시절과 겹쳐지며 그 시절 한 지붕 아래 있었던 이웃들은 지금 무얼하며 어디에 어떻게 살고 있을지 궁금증을 자아내게 한다. 어렵게 살던 시절의 아련함이 몽실몽실 피어오르며 수빈과 이웃들의 이야기 속에 빠져들면서 그때의 사건과 그 사건 너머에 감춰졌던 어른들만의 비밀이 조금씩 밝혀지는 것이 이 소설을 읽는 재미가 아닌가 싶다. 

우리네 그 때 그 시절을 배경으로 펼쳐진 탓인지 그 풍경을 상상하기에 어렵지 않았다. TV 작가나 영화 제작자라면 영상화해서 TV에서나 영화관에서 상영해 봄 직한 작품이라고 생각된다. 영화라면 300~500만 관객 이상은 너끈히 모으며 쏠쏠한 재미를 전달해 주는 작품일 것 같다.

시원한 바람이 부는 이 가을에 그 때 그 시절 아련함을 느끼고 싶은 독자라면 추천해 주고 싶은 소설 책일 것이다.


 

이 글이 도움 혹은 공감되셨다면  버튼을 꾹 눌러 주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