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쁜 습관을 없애는 간단한 방법



'이런 나쁜 습관은 없애야 해' 라고 생각하면서도 반복되는 나쁜 습관.


그런데 '내가 지금 무얼 하고 있는 거지?' 호기심(curiosity)을 가지고 스스로 느껴보도록 하는 것이 오히려 그것을 개선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역설! 


어른에게만 적용이 될까? 어린아이에게도 적용해 볼 수 있지 않을까? 손톱을 물어뜯는다거나, 단 것을 너무 먹는다거나, 씻지 않는 등 습관을 고치게 하려고 지적질(?)하는 건 별로 도움이 안 되는 것 같다. 아이들은 무궁무진한 호기심을 갖고 있다. 그 호기심을 그런 행동을 하는 자신을 바라보게끔 하는데 쓰게 한다면? 꽤 효과가 있지 않을까?


10분 내의 짧은 강연이지만 꽤 설득력 있는 내용이다.




우리는 복잡성의 시대(age of complexity)에 살고 있다. 여기서 복잡성의 시대란 빠르게 변하는 기술 변화, 방대한 정보가 생산되는 시대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대에 복잡성을 다루는 역량을 높이는데 있어 갖추어야 할 세가지 심리적 자질을(Qualities) 들 수 있다.


1. IQ - intellectual quotient 지능지수

2. EQ - emotional quotient 감성지수

3. CQ - curiosity quotient 호기심지수


IQ와 EQ는 보편적으로 많이 알려진 것이므로 여기서는 CQ 호기심지수만을 소개하고자 한다.


CQ(호기심지수)는 '헝그리 정신(hungry mind)'을 가지는 것과 관계가 많다. CQ가 높은 사람은 보다 탐구적이고 질문이 많으며 새로운 경험에 열린 태도를 갖는다. 그럼 CQ가 왜 중요한 걸까?


CQ가 높은 사람일수록 모호함 가운데서도 일반적으로 더 많은 인내심을 보여준다. 이런 스타일은 곧 어떤 문제의 복잡함에 대해 그 근본이 무엇인지 밝혀낼 수 있게끔 하는 원천이 된다. 

CQ가 높은 사람일수록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높은 수준의 지적 함양과 지식 배양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과학이나 예술과 같은 교육 영역에 있어서는 더욱 그렇다. 때문에 CQ는 복잡한 문제에 대해 간단명료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궁극적인 요소인 것이다.


마지막으로 알버트 아인스타인은 다음과 같은 유명한 말을 했다고 한다.

“나는 특출난 재능을 가진 건 아닙니다. 다만 열정적일만큼 호기심 많은 사람일 뿐입니다. (I have no special talents. I am only passionately curious.)”





이 글이 공감되셨다면  버튼을 꾹 눌러 주세요.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