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Open) 조직에서 토론은 집단의 창의성이 발휘되어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된다. 참석자들도 자신이 미처 생각지 못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접하면서 상호간에 배움의 시간이 되기도 한다.
그러나 닫힌(Closed) 조직에서의 토론 시간은 참석자들에게 고달프고 괴로운 시간이 되기 십상이다. 행여나 토론 시간에 잘못 의견을 제시했다가는 상사나 동료에게 질타를 받거나 자칫 찍히게 되는 불상사가 일어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는 상사의 의견은 어떤지 눈치를 보거나 그룹 내의 영향력 있는 사람의 발언에 휩쓸리는 동조화 현상이 일어나기도 쉽다. 이래서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나 합리적인 의견들이 제시될 가능성은 현저히 낮게 된다.

그럼 닫힌 조직에서는 창의적인 접근을 위한 토론은 불가능한 걸까? 토론의 취지를 살리고 다양한 아이디어가 제시되면서도 후한이 두렵지 않은  토론 분위기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이런 고민 끝에 찾은 가능성 있어 보이는 몇가지 토론 기법이 있다.


악마의 옹호자 기법 (Devil's Advocates)
토론 그룹에서 대안을 개발하고 평가할 때, 참석자 중 한 두 사람이 악마의 역할을 맡아서 각 대안의 약점을 공격하고, 객관적인 자료를 요구하면서 각 대안의 객관성과 논리성을 높이는 기법이다. 부정적이거나 비판하는 사람으로서 악마 역할을 맡은 사람은 자신이 지정받은 역할을 충실히 하는 것이 되므로, 토론 후에 개인적인 후한을 받을 염려에서 자유로울 수 있게 된다.

변증적 질의 기법 (Dialectical Inquiry)
그룹 참석자들을 인위적으로 찬성과 반대 집단으로 구분하여 설정함으로써 창의적인 알력을 만들어서 문제에 숨어 있는 가정을 분석하고, 좋은 아이디어를 찾는 방법이다. 이 기법은 악마의 옹호자 기법과 유사하나, 악마의 옹호자 기법은 부정적인 입장에서 접근한 반면에 이 기법은 보다 균형을 취하면서 반대 입장에서 분석하는 기법이다. 보통 토론 참석자들을 대안 찬성 그룹, 대안 반대 그룹, 대안 검토 그룹(리더그룹)으로 나누어 진행한다.

여섯 생각 모자 기법 (Six Thinking Hats)
선택한 대안을 일상적으로 수행하는 사고 방식을 벗어나 서로 다른 여섯 가지 측면에서 대안을 조명하고 분석하는 기법이다.
진행자의 지시에 의해 참석자들이 지시받은 색깔 모자(혹은 명패)를 쓰고 그에 맞는 의견을 내는 것이다. 그룹 구성원이 많다면 구성원들이 각자 여섯가지 모자 역할을 번갈아 가며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 흰색 모자 : 객관적 사실과 수치를 제시하고 어떠한 추론과 해석을 가능하면 배제하고 말하기
- 빨간 모자 : 흰색모자의 반대개념으로 육감, 직감, 인상 등의 감정에 대해서 이유를 밝힐 필요없이 말하기.
- 검은 모자 : 감정적인 부정이 아닌 논리적 부정으로 비관적 견해를 말하기.
- 노란 모자 : 감정적 긍정 및 근거없는 낙관이 아닌 논리적 긍정으로 긍정적 견해를 말하기.
- 녹색 모자 : 창조적 아이디어, 혁신, 변화의 관점에서 말하기
- 파란 모자 : 특정 색깔별 사고가 정체될 때, 다른 방향으로 생각하기 위해 의사진행 발언하기


이들 기법들은 토론 그룹 내의 상사나 영향력 있는 사람의 영향에 좌지우지되지 않고 다양한 의견이 제기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게 된다.


"의논이 없으면 경영이 무너지고 지략이 많으면 경영이 성립하느니라" (잠언 15장 22절)



이 글이 공감되셨다면  버튼을 꾹 눌러 주세요.


어떤 일, 어떤 삶 시리즈 첫번째

젊은 기획자에게 묻다


이 책은 우리나라의 젊은 기획자 7인을 선정하여 그들을 인터뷰하고 기획이란 직업 세계와 일을 풀어 쓴 책이다. 

이 책을 집어든 것은 워낙 "기획" 분야에의 높은 관심도가 한 몫 하지만 "젊은"이란 단어에 꽂혀서다. 이 책을 기획한 사람은 왜 경험 많은 배테랑 기획자들이 아닌 30대 초반의, 아직은 진행형이랄 수 있는 젊은 기획자들을 선택했을까? 책을 읽으면서 느낀 나름대로의 답은 기획의 '미래'를 보고 싶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기획이란 것이 진부함이 아닌 새로움, 도전, 젊음이라는 것에 맞닿아 있기 때문일 거란 추측을 해 본다.


젊은 기획자에게 묻다 - 10점
김영미 지음/남해의봄날


책에서는 7명의 독특한 커리어를 가진 젊은 기획자들을 소개하고 그들이 걸어온 길과 성취, 앞으로의 걸어갈 모습에의 기대를 담았다. 저자는 이들과의 만남을 통해 '기획은 어떻게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가'라는 공통 질문으로 기획의 본질에 대한 연결고리를 찾아보고자 했다고 한다. 


Story 1. 헬로우뮤지움 김이삭 관장, 어린이 미술 기획자

Story 2. 쇼노트 송한샘 총괄이사, 뮤지컬 공연 기획자

Story 3. 비비정마을 소영식 총괄 프로젝트 매니저, 마을 기획자

Story 4. 김혜준 베이커리 컨설턴트, 베이커리 기획자

Story 5. 프레인 윤형철 어카운트 매니저, 홍보 기획자

Story 6. 교보문고 조성은 대리, 도서 공간 기획자

Story 7. 도움과나눔 김은영 팀장, 비영리단체 모금 기획자


기획 분야 중에서도 주로 "크리에이티브(Creative)" 직종에 종사하는 이들의 인터뷰와 소개를 접하다보니 역시 "크리에이티브 = 열정"임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각 스토리의 말미에는 이들의 기획 노트를 간추려 소개하고 인터뷰 답변 일부를 넣어 마무리하고 있다. 그 중에서 한줄 요약을 여기에 담으며 책 소개를 마친다.

 

한 줄 정리

김이삭의 기획 노트 - 질문이 곧 기획의 시작

송한샘의 기획 노트 - 소통은 기획자의 가장 중요한 자질

소영식의 기획 노트 - 기다림과 관찰을 통한 발견

김혜준의 기획 노트 - 진심은 반드시 통한다

윤형철의 기획 노트 - 기획은 팀워크다

조성은의 기획 노트 - 경험이 기획자의 성장을 좌우한다

김은영의 기획 노트 - 타깃의 니즈를 파악하라



이 글이 공감되셨다면  버튼을 꾹 눌러 주세요.


우리는 복잡성의 시대(age of complexity)에 살고 있다. 여기서 복잡성의 시대란 빠르게 변하는 기술 변화, 방대한 정보가 생산되는 시대임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대에 복잡성을 다루는 역량을 높이는데 있어 갖추어야 할 세가지 심리적 자질을(Qualities) 들 수 있다.


1. IQ - intellectual quotient 지능지수

2. EQ - emotional quotient 감성지수

3. CQ - curiosity quotient 호기심지수


IQ와 EQ는 보편적으로 많이 알려진 것이므로 여기서는 CQ 호기심지수만을 소개하고자 한다.


CQ(호기심지수)는 '헝그리 정신(hungry mind)'을 가지는 것과 관계가 많다. CQ가 높은 사람은 보다 탐구적이고 질문이 많으며 새로운 경험에 열린 태도를 갖는다. 그럼 CQ가 왜 중요한 걸까?


CQ가 높은 사람일수록 모호함 가운데서도 일반적으로 더 많은 인내심을 보여준다. 이런 스타일은 곧 어떤 문제의 복잡함에 대해 그 근본이 무엇인지 밝혀낼 수 있게끔 하는 원천이 된다. 

CQ가 높은 사람일수록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높은 수준의 지적 함양과 지식 배양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과학이나 예술과 같은 교육 영역에 있어서는 더욱 그렇다. 때문에 CQ는 복잡한 문제에 대해 간단명료한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궁극적인 요소인 것이다.


마지막으로 알버트 아인스타인은 다음과 같은 유명한 말을 했다고 한다.

“나는 특출난 재능을 가진 건 아닙니다. 다만 열정적일만큼 호기심 많은 사람일 뿐입니다. (I have no special talents. I am only passionately curious.)”





이 글이 공감되셨다면  버튼을 꾹 눌러 주세요.


+ Recent posts